국제 일반 · 번역/서평

[해외 기사] 「해체가 임박한 나토(NATO)」

미국 국방성 장관 마크 에스퍼(Mark T. Esper. 좌측)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 옌스 스톨텐베르크(Jens Stoltenberg. 우측) : 2019년 10월 24일 브뤼셀 나토 본부에서

출처
https://www.nato.int/cps/en/natohq/photos_169918.htm

 

[해외 기사]
「해체가 임박한 나토(NATO)」

2019년 10월 28일 •

 

_______________________
기사 본문
_______________________

2019년 10월 26일

기사 출처
https://www.voltairenet.org/article208121.html?fbclid=IwAR0VJRYw_dxludQ5aCTQlhPckIvw53SIZa2u2Q9G9_p_LLgDSKaPvgCv3IQ

 

[기사 본문]
나토 회원 국방부 장관들이 10월 24일과 25일 양일간 벨기에 브뤼쉘에 위치한 나토 본부에서 회합했다. 이 모임에서 독일과 프랑스 그리고 룩셈부르크가 한편이 되고 미국과 터키가 다른 한편이 되어 대단히 열띤 의견 충돌이 빚어졌다. 그 와중에 구소련 붕괴 이전 바르샤바 조약기구 회원국들이었던 동유럽 국가들(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루마니아, 불가리아, 알바니아)은 러시아에 대한 그들의 방어를 늦추지 않겠다는 열의를 보이면서도 동시에 양 당사자들을 진정시키려는 중재 노력을 시도했다.

 

[이미지 1] 나토 조약 서명식에서 연설하는 미국 제33대 대통령 해리 트루만(Harry S. Trueman) : 1949년 4월 4일 워싱톤 (AP 사진)

출처
https://i0.wp.com/www.news-decoder.com/wp-content/uploads/2015/10/natosigning.jpg?ssl=1

 

나토 내부에서 이같은 대립적 논쟁은 역사적으로 거슬러 올라가 보면 1966년에 이미 그 전례가 있다. 그 당시 쟁점은 미국으로부터 나토 회원국들이 독립적 군사 운용권을 보장받을 수 있느냐 혹은 그렇지 않으냐 하는 것이었다. 즉, 프랑스가 미국서 파견된 수석 지휘관들 명령을 수용할 수 없다며 통합 사령부에서 철수했을 때 논쟁이 발생했다.


[이미지 2] 나토 회원국들의 가입 시기

출처
http://www.opinionglobal.cl/the-north-atlantic-treaty-organization-nato/

 

그러나 지금은 프랑스와 독일과 베네룩스 국가들은 나토 군사 동맹의 ‘존속’을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시리아 북부 쿠르드 무장세력인 YPG를 지원하여 시리아와 터키에 대항하는 ‘군사 개입’을 주장하는 상황이다.

반면 미국과 터키는 미군이 시리아에 주둔할 의무가 없으며 터키의 군사력이 대테러 문제에 관한 해결을 합법적 틀 내에서 수행하고 있음을 주장했다.

이러한 상황은 미국이 더는 ‘제국(empire)’이 되기를 원치 않기를 결정한 후에, 앞으로 나토는 어디로 가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즉, 방향성의 문제이다.

 


[이미지 3] 시리아에서 미국의 빈 공백을 채우려는 프랑스

출처
https://www.express.co.uk/news/world/952371/Syria-news-French-troops-Syria-Iraq-USA-Kurdistan-Turkey-YPG-SDF

 

자연법칙이 공백을 허용치 않듯이, 독일과 프랑스는 미국의 공백을 메우려는 명백한 의지를 보인다. 비록 그들이 독자적으로 그럴만한 군사력이 부재한 상태인데도 말이다. 그러나 양국 입장은 다소 미묘한 차이를 보인다. 독일은 자신의 활동이 지금까지 유지되었던 ‘나토 동맹 틀 안에서’ 지속하기를 바라는 반면, 프랑스는 미국과 영국이 빠진 ‘EU라는 틀 속에서’ 나토의 진화를 상상하고 있다.

구소련 붕괴 과정 동안에 [나토에 대항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구소련의 군사동맹인] 바르샤바 조약기구는 모스크바가 회원국들 독립을 인정하면서 존속 기반을 상실했다.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보면, 구소련의 “브레즈네프 독트린”(1968년)으로 말미암아 만약 동구 블록 사회주의 국가들(의 정체성)이 위험에 처하게 되었을 때, 동맹국 간에 군사 개입이 가능했다.

따라서 모스크바는 “프라하의 봄”을 진압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90년 미하일 고르바쵸프는 모스크바가 다시는 회원국들에 법으로 명령할 수단이 없음을 선언했다. 이는 고르바쵸프가 가수 프랭크 시나트라(Frank Sinatra)의 노래 마이 웨이(My way)를 암시하는 “시나트라 독트린(Sinatra doctrine)” 발표 때문이었다. 이후 모스크바는 헝가리와 ‘베를린 장벽’을 무너뜨린 동독에 아무런 개입을 하지 않았다.

 


[이미지 4] 1968년 프라하의 봄

출처
https://blogs.shu.edu/history/2018/10/12/the-prague-spring-as-seen-from-the-united-states/

 

그러나 지금 현재 나토는 여전히 암살이나 레짐 체인지를 통해 회원국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막후 비밀 조직이 있다. 주2)

비록 이러한 공작들이 몇 차례 저지되었던 적도 있으나 그것들은 여전히 유효하게 작동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그러나 누구도 미국에 의해 이런 [어두운] 문제가 제기될 것이라고 예상하지는 못했다.

 

[이미지 5] 『나토의 비밀 군대 : 글라디오 작전과 서유럽의 테러리즘 NATO’s Secret Armies : Operation Gladio and Terrorism in Western Europe』 책 표지

출처

http://www.php.isn.ethz.ch/lory1.ethz.ch/collections/coll_gladio/booklaunch.html

_______________________
후주

주1)
_______________________
https://www.nato.int/cps/en/natohq/events_169801.htm
「Meetings of NATO Ministers of Defence」

 

주2)
_______________________
『나토의 비밀 군대 : 글라디오 작전과 서유럽의 테러리즘 NATO’s Secret Armies : Operation Gladio and Terrorism in Western Europe』, Daniele Ganser, Frank Cass (2004). Version française : Les Armées Secrètes de l’OTAN : Réseaux Stay Behind, Opération Gladio et Terrorisme en Europe, Demi-Lune (2007). Disponible en épisodes sur Voltairenet.org.

NATO
Handshake between the NATO Secretary General and the US Secretary of Defense with short remarks
Meetings of NATO Ministers of Defence – 24-25 October 2019 – NATO Headquarters, Brussels

[Photo]
미국 국방부 장관 마크 에스퍼(Mark T. Esper. 좌측)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 옌스 스톨텐베르크(Jens Stoltenberg. 우측) : 2019년 10월 24일 브뤼셀 나토 본부에서

출처
https://www.nato.int/cps/en/natohq/photos_169918.htm

[Photo]
[이미지 1] 나토 조약 서명식에서 연설하는 미국 제33대 대통령 해리 트루만(Harry S. Trueman) : 1949년 4월 4일 워싱톤 (AP 사진)

출처
https://i0.wp.com/www.news-decoder.com/wp-content/uploads/2015/10/natosigning.jpg?ssl=1

[Photo]
[이미지 2] 나토 회원국들의 가입 시기

출처
http://www.opinionglobal.cl/the-north-atlantic-treaty-organization-nato/

[Photo]
[이미지 3] 시리아에서 미국의 빈 공백을 채우려는 프랑스

출처
https://www.express.co.uk/news/world/952371/Syria-news-French-troops-Syria-Iraq-USA-Kurdistan-Turkey-YPG-SDF
[Photo]
[이미지 4] 1968년 프라하의 봄

출처
https://blogs.shu.edu/history/2018/10/12/the-prague-spring-as-seen-from-the-united-states/

[Photo]
[이미지 5] 『나토의 비밀 군대 : 글라디오 작전과 서유럽의 테러리즘 NATO’s Secret Armies : Operation Gladio and Terrorism in Western Europe』 책 표지

출처

http://www.php.isn.ethz.ch/lory1.ethz.ch/collections/coll_gladio/booklaunch.html

5 - 포스팅이 마음에 드셨나요? 왼쪽 하트를 눌러 공감해주세요
댓글
  1. Andres Calamaro - Cuando No Estas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