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4월 5일
세계보건기구(WHO)가 “대리 세계정부”의 역할을 하려 하는가?
‘국민국가’는 없어지는 건가?
“글로벌 폭정”에 거부로 답하자.
– 루돌프 한셀(Rudolf Hänsel)과 피터 쾨니히(Peter Koenig) 박사
☞ 역자 해설
우리의 서구 글로벌리스트 도당들은 중국과 손잡고 그 속국들의 정치/의료/미디어 부역자들을 자유자재로 부리며 대중들을 절묘하게 속이며 ‘가짜 전염병’을 올가미 삼아 인류를 2년 3개월 이상 아니 앞으로도 영원히 계속해서 인류를 괴롭히면서 ‘테크노크라시(Technocracy)’, 즉 ‘디지털 바이오 감옥 체제’로의 폭력적 이행을 중단 없이 추진하고 있다. 그나마 남아 있던 ‘찌끄레기 민주주의’의 흔적조차도 이젠 더 이상 구경할 수 없는 세상이 도래하고 있는 것이다. 인간 신체에 뭔가를 주입했으니 나노 기술에 기반한 개인 통제의 기술 인프라는 구축된 셈이고, 곧 이어 우리의 신체는 추가적으로 계속해서 뭔가를 계속 주입 당하면서 업그레이드 될 것이다.
그러니까 지금 우리는 이미 ‘트랜스휴머니즘’의 신세계로 풍덩 빠진 것이다.
“국민국가….? 그게 뭐야?” 이제 다음 세대는 이 단어의 의미를 알지 못하게 된다.
삼엽충 화석 같은 것이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아디오스, 국민국가~~~”
[번역 기사 ]
우크라이나 전쟁의 그림자 속에서, 세계보건기구(WHO)는 – 대중이 눈치채지 못한 채 – 국제법에 구속력이 있는 “전염병 예방 및 통제에 관한 국제 협정”을 준비하고 있다.
제네바 협상은 이미 시작됐다. 원래, “권력 이양”은 2022년 5월 1일로 계획되었다. 즉 WHO의 194개 회원국 모두는 폐쇄 또는 일반 의무 백신 접종과 같은 WHO의 결정 조치를 무조건 시행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2022년 3월 3일자 유럽연합 이사회(Concilium Europa)의 새로운 각서로 인해 권력 이양의 과정이 상당히 지연되었다.
한편, 이 새로운 WHO “세계 정부 협정”의 작업 초안은 2022년 8월 1일에 추가 내부 협상을 위해 준비될 예정이다.
여기를 참조하시오.
“전염병 예방 및 대비에 관한 국제 조약”
[영상] 전염병이 닥치면 모두가 취약합니다.
이사회가 국제 전염병 조약에 대한 협상 시작을 승인하다.
2022년 3월 3일, 이사회는 전염병 예방, 대비 및 대응에 관한 국제적 합의를 위한 협상 개시를 승인하는 결정을 채택했다.
이 국제 문서의 초안을 작성하고 협상하는 임무를 맡은 정부 간 협상 기구는 작업 초안에 대한 진행 상황을 논의하기 위해 2022년 8월 1일까지 다음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그런 다음 2024년까지 이 도구[협정]를 채택하는 것을 목표로 2023년 제76차 세계보건총회에 진행 상황 보고서를 전달할 예정이다.
“유럽 연합 이사회”에 따르면, WHO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 작업에 대한 공식적인 정당성은 국제 사회가 가능한 미래의 전염병과 이에 대한 조정된 통제에 더욱 잘 대비해야 한다는 구실이다(2).
3월 5일자 「에포크타임즈」에 따르면, 록펠러 재단과 빌게이츠 등 민간 주체[글로벌리스트 돌격대 전위조직]는 물론이고 유럽연합도 그러한 발상의 진원지인 것으로 보인다(3).
지난 2년 동안의 [가짜] 전염병 경험을 고려할 때, 이것은 세계가 무엇을 기대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협정의 근거는 WHO 규정 19조이다.
이것은 WHO 총회가 모든 회원국에 대해 3분의 2 다수결로 구속력이 있는 협정을 채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렇게 되면] 국가는 앞으로 더 이상 전염병 통제 조치에 대한 선택에 개입할 수 없으며 방역 주권을 상실하게 된다.
‘국민국가의 폐지’는 동시에 ‘기본권과 시민권의 상실’을 의미하는 것이다.
☞ 글로벌 도당들은 이제 ‘가짜 전염병’을 구실 삼아 ‘전염병 공동 대응 협정’같은 것을 만들어 ‘국민국가의 가속적 파괴’를 가능케 하는 여러 조치들을 마음대로 명령할 수 있다는 얘기다.
저명한 독일계 영국인 사회학자이자 저널리스트이자 정치가인 랄프 다렌도르프(Ralf Dahrendorf)는 [이미] 몇 년 전에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경고한 바 있다.
“따라서 국민 국가를 포기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지금까지 인간의 기본권을 보장해준 단 하나의 유일한 효과적인 장치를 잃게 되는 겁니다. 오늘날 국민 국가를 없어도 되는 것으로 여기는 사람은 누구든지 – 비록 그렇게 의도하지는 않을지 몰라도 – 시민의 권리를 없어도 되는 불필요한 것으로 선언하는 꼴이 되는 겁니다.” (4)
그러나 그러한 광범위한 문제에 대해 사람들은 마지막으로 입을 열어야 할 것이다. “투표 자격이 부여된 국가의 모든 시민은 국민투표에서 자신의 의견을 표명할 권리와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고 말이다.
전세계 정부에게 드리는 제안
「greatreject.org」에 따르면, WHO에서 20년 넘게 근무한 경력을 지닌 스튜켈베르거 박사(Dr. Stuckelberger)는 다음과 같은 제안을 했다고 한다.
모든 국가는 WHO에 공개 항의 서한을 보내야 합니다.
‘정부’는 국민이 국민투표 없이 수백만 명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는 보건부 장관의 서명을 국민이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내용의 서한을 작성해야 합니다. 이 서한을 모든 국가에서 제네바에 있는 WHO로 보내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모든 국가에 2022년 5월까지 이 조치를 시행할 것을 요청하고 있습니다[그러나 한편 이 요구는 2024년으로 연기되었습니다. 여기 참조]
지금까지 ‘러시아’만이 그러한 거절 편지를 보냈다(5).
국제법은 UN 규정이 개별 주권국가의 헌법보다 상위에 놓이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 원칙은 유엔 기구인 세계보건기구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Notes
(1) [Updated English version]
https://www.consilium.europa.eu/en/policies/coronavirus/pandemic-treaty/
(2) https://www.consilium.europa.eu/de/policies/coronavirus/pandemic-treaty/
(3) https://www.epochtimes.de/politik/ausland/globaler-pandemievertrag-der-who-kann-nationale-verfassungen-aushebeln-a3744145.html
(4) https://weltwoche.ch/daily/im-schatten-des-uktaine-krieges-werkelt…ns-sollen-zum-neuen-instrument-der-internationalen-politik-werden/
(5) https://greatreject.org/who-is-world-government-power-grab/
7 - 포스팅이 마음에 드셨나요? 왼쪽 하트를 눌러 공감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