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정치 · 번역/서평

[번역]한국인들은 김정은과의 생각지도 못한 평화를 과감히 꿈꾼다

편집자주: 2차 북미정상회담을 즈음해 작년 4월 CNN 기사 번역본을 올립니다. 당시 1차 남북 정상회담 관련 기사입니다.

_____

South Koreans dare to hope of once unthinkable peace with Kim

“There is no more war,” read the headline of Korea’s Hankyoreh newspaper Saturday, underneath a full-page photo of Kim and Moon, hand in hand stepping over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MDL) which has separated the two countries since the end of fighting in the Korean War in 1953.
1953년 6.25전쟁이 끝난 뒤 분단된 군사분계선(MDL)을 밟은 채 손잡고 있는 김 위원장과 문 위원장의 전면 사진 아래 한겨레신문 헤드라인은 “더 이상 전쟁은 없다” 였습니다.
The landmark deal signed by the two leaders Friday wasn’t the Berlin Wall coming down — the demilitarized zone (DMZ) between the Koreas remains, and there are many, many issues to solve before anything approaching reunification — but it had something of that historical weight, and has left even the most cynical of South Koreans feeling genuinely optimistic about their country’s future.
금요일 두 지도자가 서명 한 획기적인 협상으로 ‘한국의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는 것이 아닙니다. 남북간의 비무장 지대 (DMZ)가 남아 있고 통일이 다가오기 전에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역사적인 무게를 가지고 있고, 심지어 한국인들 중 가장 냉소적 인 사람들에게 조차 그들의 나라 미래에 대한 진정으로 낙관할 수 있다는 느낌을 남겼습니다.

Pent up emotion

For generations of men and women South of the border, the war and the accompanying threats of military attack have been an ever-present fact of life.
There are more than 3,000 bomb shelters in Seoul, every man between the ages of 18 to 35 has to serve in the military for two years, and the city plays host to tens of thousands of US troops.

 

감정을 억제하다
수세대 동안 국경 남쪽의 남녀에게  전쟁과 그에 수반되는 군사 공격의 위협은 항상 있어 왔습니다. 서울에는 3000 개가 넘는 방공 대피소가 있고, 18 세에서 35 세 사이의 모든 사람들은 2 년 동안 군대에 복무해야 하며 도시는 수만 명의 미군 병력을 운영합니다.
No South Korean will tell you they are unaware of the dangers, but at times the capital can feel wholly removed from its belligerent neighbor, existing in another world, even when there is talk of artillery shells raining down on the city from Pyongyang. Before Friday, many would have said this was because South Koreans just want to get on with their lives — they didn’t build the world’s eleventh largest economy by worrying about war everyday — but the reaction to Kim and Moon’s handshake hinted at a degree of pent up anxiety and denial, which for some came out in floods of emotion.
남한 사람들은 위험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말할 수 없지만 때때로 평양에서 평양으로 부터 시위하는, 이 도시에 쏟아지는 포탄 이야기가 나올때 조차 서울이 다른 세계에 있는 적대적인 이웃으로부터 완전히 동떨어져 있는 것 처럼 느꼈습니다.
금요일 이전에, 많은 사람들은 이것이 한국인들이 단지 그들의 삶을 살아가기를 원하기 때문이라고 말했을 것입니다. 그들은 매일 전쟁을 걱정함으로써 세계 11위의 경제 대국을 건설하지는 않았지만, 김과 문의 악수에는 어느 정도 억눌린 불안과 부정의 정도가 있음을 암시했습니다. 몇몇 사람들은 감정의 홍수 속에서 이런 반응이 나왔습니다.
0 - 포스팅이 마음에 드셨나요? 왼쪽 하트를 눌러주세요
댓글
  1. Andres Calamaro - Cuando No Estas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