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has already met with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and will sit down for an historic summit with US President Donald Trump later this year, placing the fate of the Koreas largely in the hands of the US leader. Trump — who many, including Moon himself, have given credit for the meeting taking place at all — was triumphant onTwitter, writing “KOREAN WAR TO END!” and praising Xi for his assistance. Chinese Foreign Ministry spokeswoman Hua Chunying applauded the “historic moment of the North and South Korean leaders crossing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and quoted an ancientChinese poem: “Disasters are never powerful enough to separate real brothers, and a smile is all they need to eliminate the hard feelings.”
김정은은 이미 중국 시진핑 주석을 만났고, 올해 중에 한반도의 명운을크게 좌우할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와 역사적인 정상회담을 가질 것입니다.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회담의 성사에 크게 기여한 트럼프는 “한국전쟁, 종결로!”라는 글을 트위터에 올리고 시진핑의 도움을 칭찬하는 등 의기양양해 했습니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 화춘잉은 “군사 분계선을 건넌 남북한 리더의 역사적 순간”에 찬사를 보내며 “재난은 친형제를 갈라놓을 만큼 절대 강력하지 않고, 웃음이 그들의 불편한 관계를 해소하기 위해 필요한 전부다.”라는 중국 전통 시를 인용했죠.
A peace treaty to officially end the KoreanWar may be the easiest thing to arrange, but even that will require many more parties than just the Koreas. When war broke out on the Peninsula in 1950, theUS, under the banner of the United Nations, and China were both major belligerents. Both are parties to the armistice agreement, signed in 1953, which ended hostilities, along with North Korea but not South Korea, whose strongman leader Syngman Rhee refused to sign, though he could not stop his US sponsors from doing so. Under the new Panmunjom Declaration, Moon and Kim agreed to work towards “quadrilateral meetings involving the twoKoreas and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ith a view to declaring an end to theWar and establishing a permanent and solid peace regime.”
한국 전쟁을 공식적으로 끝내기 위한 평화 조약은 할 수 있는 가장 쉬운 일이겠지만, 그것마저도 남한과 북한 외에도 더 많은 당사자를 요구합니다. 1950년한반도에서 전쟁이 발발했을 때 UN의 기치 아래 미국과 중국이 주요한 교전국이었습니다.
두 국가 모두 전쟁을 끝낸 1953년 휴전 협상에 북한과 마찬가지로 참여했지만, 남한 지도자 이승만이 서명을 거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미국 스폰서가 서명하는 것을 막을 수는 없었습니다.
새로운 판문점 선언 아래에서, 문재인과 김정은은 “남한과 북한, 미국, 그리고중국을 포함한 4자회담을 개최하여 종전 협상과 영구적이고 굳건한 평화를 설립하기”로 동의했습니다.
Travis Jeppesen, author of “See YouAgain in Pyongyang,” said “in the coming months, we can expect moreNorth-South engagement in the realms of sports and culture, and eventuallycommerce, education, and tourism.” “These steps, combined with diplomaticengagement, will slowly but surely lead to the empowerment of the North Koreanpeople,” he added.
“평양에서 다시 봐요”의저자 트래비스 제페슨은 “다가오는 몇 개월 내에, 우리는 스포츠와 문화에서의 남북 협력을 더 많이 볼 수 있을 것이고, 결과적으로 상품, 교육, 그리고 관광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외교적 참여를 동반한 이러한 발걸음들은 느리지만 확실하게 북한인들에게 권한을 줄 것이다”라고 그는 덧붙였죠.
Major sticking point
The US and China have both indicated support for formally ending the war, but it remains to be seen if the much larger hurdle of denuclearization will stymie those efforts. What all parties exactly mean by denuclearization has always been a sticking point in discuss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the US. The Koreas have reached agreements in the past. They have hosted successful summits in the past, and raised hands and pledged cooperation and solidarity, but the fundamental disputes have remained unsolved, eventually scuttling any momentum towards true peace.
주요 난제
미국과 중국 모두 공식적인 종전을 위한 지원을 약속했지만, 비핵화를향한 더 큰 장애물들이 이러한 노력들을 방해할 것으로 보입니다. 각 당사자들이 ‘비핵화’라는 말에 어떠한 의미를 두는 지는 남북한, 그리고 북미에게 있어 항상 난제가 되어왔습니다.
남북한은 과거에도 협상에 도달했습니다. 그들은 과거에도 성공적인 정상회담을성사시키고 협력과 연대에 선서를 했지만, 근본적이 논란은 해결되지 않았고, 결과적으로 진정한 평화를 향한 모든 노력을 무산시켰습니다.
Speaking to CNN at a secure location inSeoul before the summit, North Korea’s former deputy ambassador to London, Thae Yong-ho, warned Pyongyang may not be willing to countenance the type of stringent inspections needed to verify full denuclearization. “I really doubt whether America can force Kim Jong Un to accept the complete, verifiable and irreversibledenuclearization (CVID) principle,” he said. “For North Korea, if they accept theCVID then that’s the end of the North Korean system.” He explained that true CVID requires inspectors to be given unfettered access to the country, without restrictionsor prior approval. North Korea, with multiple large camps for politicalprisoners, and top secret military bases, would be unlikely to allow inspectorsto roam around unsupervised. “There are many places North Koreacannot actually open to the world,” he said. “How can you be surethat North Korea does not hide its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s) inthose areas? Real and genuine CVID must mean complete access.” Viciouscycle Pyongyang will also argue, justifiably manywould say, that it should not have to give up its nuclear deterrent while thethreat of US nuclear attack remains.
정상회담 전에 서울의 비밀 장소에서 CNN과 인터뷰한 북한의 전직 런던 부대사 태영호는 완전한 비핵화를 검증하기 위한 엄격한 조사를 북한이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나는 미국이 김정은을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핵 폐기에동의하게 만들 수 있을지 진정으로 의심스럽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북한에게 있어서, 그들이 CVID에 동의한다면 그것은 북한 시스템의 종말이다.”
그는 진정한 CVID는 조사관들이 북한에 규제나 사전 동의 없이 제한되지않은 출입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정치적 죄수들을 가둔 다수의 대형 수용소들과 일급 기밀군사 기지들을 갖고 있는 북한이 조사관들이 감시 없이 돌아다니기를 허용할 가능성은 극히 드뭅니다.
“북한이 세계에 공개하지 못할 장소들이 많이 있다”고 그는 말했습니다. “어떻게 당신은 북한이 그러한 장소들에 대륙간탄도미사일을 숨기지 않았다고 확신할 수 있겠는가? 진정하고 솔직한 CVID는 완전한 접근을 의미해야 합니다.”
Until 1991 the US maintained nuclearweapons in South Korea, and the country is still within the wider US nuclearumbrella. “Since the Korean War, the US hasmaintained a policy of protecting South Korea with its nuclear weapons, and the potential of a pre-emptive nuclear strike against North Korea,” saidWol-san Liem, Director of International and Korean Peninsula Affairs at the KoreanFederation of Public Services and Transportation Workers’ Unions. “On top of that, on a regular basisthe US and South Korea conduct military exercises which are about toppling theNorth Korean government.” Pyongyang has long viewed those exercises asa direct threat, and Liem added that “all of that militarization, thehostile policy towards North Korea and the fact that there is still a state ofwar, is part of a vicious cycle.” “We have to figure out how to stop thevicious cycle, but it can’t be one sided,” she said. Failing to go throughany “trust building steps” with North Korea could result ineverything falling apart, she warned.
악순환
1991년까지 미국은 한국에서 핵 무기를 유지했고, 한국은 여전히 미국의 핵우산 아래 있습니다. 임월산 공공운수노조 국제통일국장은 “625전쟁 이후 미국은 핵무기로 한국을 보호한다는 방침과 북한에 대한 핵 선제공격 가능성을 유지해왔다”며 “북한에 대한 핵공격의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게다가 미국과 남한은 정기적으로 북한 정부를 무너뜨리는 군사 훈련을 실시합니다.” 북한은 오랫동안 이러한 훈련을 직접적인 위협으로 간주해 왔으며, 임국장은 “그 모든 군사화, 북한에 대한 적대적 정책, 그리고 여전히 전쟁 상태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악순환의 일부입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우리는 이 악순환을 멈추는 방법을 알아내야 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한 쪽 편일 수는 없습니다.”라고 그녀가 말했습니다. 북한과의 “신뢰구축” 단계를 거치지 못하면 모든 것이 무너질 수 있다고 그녀는 경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