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정치 · 번역/서평

[번역]평양에서의 쇼핑, 북한 자본주의 또 다른 모험

편집자주: 필자인 트라비스 재패샌(Travis Jeppesen)은 베를린과 런던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이자 미술가입니다. 국립현대미술관(이하 MMCA) 레지던시 해외연구자로 선정되어 한국에 온 바 있죠. 최근 ” 평양에서 다시 봐요”를 썼습니다. 2016년 북한 김형직사범대에서 한국어 어학연수를 하기도 했습니다. 아래는 2019. 2. 14 일자 뉴욕타임스 매거진에 실린 글입니다. 학력/전시경력 등은 링크 참조 바랍니다.  링크

____

Shopping in Pyongyang, and Other Adventures in North Korean Capitalism

Far from the stereotype of total economic isolation, the black market has brought a surprising degree of modernity and consumerism — for some.

평양에서의 쇼핑, 북한 자본주의 또 다른 모험

완전한 경제적 고립에 대한 고정관념과 달리 암시장은 일부 사람들에게는 놀라운 수준의 현대성과 소비주의를 가져왔다.

One Night in Pyongyang, around 9 p.m., my North Korean minder, S., and I pulled into the empty parking lot of the Chongryu Restaurant on the quiet banks of the Potong River. It was the spring of 2017, and, though I didn’t know it at the time, I was among the last Americans to visit North Korea before a travel ban took effect. It was my fifth trip in five years to the country, whose supposed impenetrability to American visitors had spurred me to visit as often as possible. On my first three visits, I traveled as an ordinary tourist, which was surprisingly easy to do (albeit in a highly monitored, regimented fashion); then, in the summer of 2016, I enrolled in a monthlong immersive Korean-language program at Kim Hyong-jik University of Education. Now I was back in the country to take an additional two weeks of language classes by day while covertly making further notes for a book in my hotel room at night.

평양에서 어느 날 밤, 오후 9시 경 나는 북한 광부인 S와 함께  보통강가의 조용한 둑에 있는 청류 식당의 빈 주차장으로 차를 몰았습니다. 2017 년 봄이었죠. 그때는 몰랐지만, 나는 여행 금지령이 발효되기 전에 북한을 방문한 마지막 미국인들 중 하나였습니다. 5년 만의 다섯 번째 북한 방문이었죠. 북한 여행이 미국인들에게 불가능하다고 여겨졌기에 저는 가능한 한 자주 방문하고 싶었습니다. 처음 세 번의 방문할 동안 저는 일반 관광객으로 여행했는데 놀랍게도 방문은 어렵지 않았습니다. (감시가 심하고 엄격한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2016년 여름, 저는 김형직 교육대학교에서 한 달 동안 집중적인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에 등록했습니다. 이제 저는 밤에 호텔 방에서 책에 대한 더 많은 메모를 작성하면서 매일 2 주간 언어 수업을 추가로 받기 위해이 나라에 돌아 왔습니다.

This was the second time that S., who was 26, had been assigned to look after me in less than a year; she had become something like a friend. Over the course of my visits, I learned that young couples often met for night strolls along this stretch of the Potong. “Are we here for a date?” I joked. S. laughed. “Yeah, sure,” she said. “We have a date tonight with Comrade K.!”

26살이었던 S가 1년도 안 돼 저를 돌보도록 배정받은 것은 이번이 두 번째입니다. 그녀는 친구 같은 존재가 되었습니다. 방문하는 동안, 저는 젊은 커플들이 종종 이 보통강을 따라 밤 산책을 하기 위해 만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죠. “우리 데이트하러 온 거죠?”라고 내가 그녀에게 농담했습니다. S는 웃었습니다. “네, 물론이죠.” 그녀가 말했습니다. “오늘 밤 K 동무와 데이트가 있습니다!”

K. — I refer to several key people in this article by their first initials to protect them and their relatives from reprisal — was the director of the state-owned travel company that arranged my visit. He had offered to take me out for a drink at his favorite gastro pub, in east Pyongyang near the Juche Tower, a 560-foot candle with a cherry-red flame kept constantly lit throughout the night. (The tower was built in 1982 on the orders of Kim Jong-il as a 70th-birthday present to his father, the North Korean founding leader Kim Il-sung.)

K는— 저는 이 기사에서 그들과 그들의 친척들을 보복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몇 명 핵심적인 인물들을 이름 대신 이니셜로 적습니다—제 방문을 주선한 국영 여행사의 이사였습니다. 그는 주체사상탑 근처의 평양 동쪽에 있는 그가 가장 좋아하는 미식가 술집에 저를 데리고 나가서 술을 마시자고 제안했습니다. 빨간 체리 불꽃으로 빛나는 560피트 길이의 네온 촛불이 밤새 계속 켜져 있었습니다(이 탑은 1982년 김정일의 지시에 따라 아버지인 북한 건국 지도자 김일성에 대한 70회 생일 선물로 건립되었습니다).

(이미지=위키피디아)

In Pyongyang, a city that requires drivers to hold a special permit to be out past 11, 9 p.m. felt decidedly late. We climbed out of the car to take in the late spring nocturne. In addition to S. and I, there was our required second guide, P., as well as our driver.

Usually, the tour guides are tasked with looking after large groups, but with all the bad publicity — North Korea’s relations with the West were at their worst, with missile launches and the imprisonment of an American college student named Otto Warmbier (who would later die after falling into a coma during his 17 months in North Korean custody) dominating the news cycle — tourism numbers, already low, had been plummeting. For the next two weeks, I would be the sole foreigner in their charge.

운전자들이 11시를 넘기면 특별 허가를 받아야 하는 평양에서 저녁 9시는 확실히 깜깜한 밤중이었습니다. 우리는 늦은 봄 야행차를 타기 위해 차에서 내렸습니다. S와 I 외에, 운전사뿐만 아니라, 두 번째 가이드 P도 있어야 했죠.

통상적으로 관광 안내원들은 대규모 단체들을 돌보는 임무를 맡고 있지만, 온통 나쁜 선전들–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뉴스를 도배한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북한 구금 17개월 동안 혼수상태에 빠지고 나중에 사망)의 수감으로 북한과 서방의 관계가 최악이었죠 –로 이미 저조한 여행자 수가 더 곤두박질치고 있었습니다. 이후 2주 동안 저는 그들이 담당하는 유일한 외국인이었습니다.

Across the otherwise vacant parking lot, about a dozen figures were shuttling between the back of an open truck and the river, removing what appeared to be solar panels and carrying them to float upon the placid waters. I had begun to notice solar panels on apartment balconies throughout the city — a convenient solution to the country’s electricity shortages for those who can afford it — and knew that placing them in water was a way to cool them off. But owing to the great quantity here, it almost seemed as if the panels were being set afloat as a form of display, as if they were merchandise for sale. As I wondered what exactly it was I was seeing, P. shrieked out to her fellow Koreans: “Jangmadang! Jangmadang!

다른 빈 주차장을 가로질러 약 12명 정도 사람들이 열려 있는 트럭의 뒤쪽과 강 사이를 오갔습니다. 태양 전지판으로 보이는 것을 제거하고 잔잔한 물 위에 떠다닐 수 있도록 그것들을 나르고 있었습니다. 저는 도시 전역의 아파트 난간에서 태양열 패널을 발견했습니다. 태양광은 여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전기 부족에 대한 편리한 해결책이죠.  판넬을 식히기 위해 물에 두는 거라는 걸  알게 됐습니다. 양이 많아서 마치 판넬이 진열된 것처럼 보였습니다. 마치 판넬이 판매용 상품인 것처럼 말이죠. 내가 정확히 뭘 보고 있는지 궁금해하자 P는 동료들에게 소리쳤습니다: “장마당! 장마당!”

Jangmadang! Jangmadang!” I echoed playfully. My minders ceased their laughter and looked down at the ground. They had forgotten for a moment that I was a language student; jangmadang was one word I was not supposed to know.

“장마당! 장마당!” 내가 장난스럽게 따라 하자 안내원들은 웃음을 멈추고 땅을 내려다보았습니다. 그들은 내가 어학연수생이라는 것을 잠시 잊고 있었던 겁니다. 장마당은 내가 알아서는 안 되는 단어였습니다.

Usually translated as “market grounds,” jangmadang is the word for the unofficial markets that emerged during the Arduous March, which is the regime’s official name for the famine that blighted the country throughout the middle and late 1990s. These were illegal markets, to begin with, that sprang up as a result of the collapse of the public food-distribution system that all North Koreans had previously relied on for their monthly rations. During the later years of Kim Jong-il’s reign, the government began to grudgingly accept their existence and took steps toward regulating them: charging rent for stalls, controlling prices and monitoring what goods were for sale. Under Kim Jong-un, the restrictions against this form of private enterprise have been all but lifted, and jangmadang has transcended the cramped market stalls of its birth to refer to the vast array of legal, illegal and semi-legal markets that exist for all sorts of goods in North Korea.

보통 “시장 근거지”로 번역되는 장마당은 1990년대 중후반 전국을 황폐화한 기근에 대한 정권의 공식 명칭인 ‘고난의 행군’ 동안 등장한 비공식 시장입니다. 장마당은 북한 주민들이 매월 배급에 의존했던 식량 배급 제도가 붕괴한 결과 시작된 불법 시장이었습니다. 김정일 집권 후반기에 정부는 마지못해 그들의 존재를 받아들이기 시작했고, 그들을 규제하기 위한 조처를 했습니다: 노점 임대료 부과, 가격 통제, 그리고 어떤 물건이 팔리고 있는지 감시하는 것 등이죠. 김정은 체제 아래에서, 이러한 형태의 민간기업들에 대한 제약은 거의 철폐되었고, 장마당은 북한에서 모든 종류의 상품에 존재하는 방대한 법률, 불법, 반합법적 시장을 가리키기 위해 탄생한 비좁은 시장 노점을 초월했습니다. 최근 탈북자와 국외 거주자 가운데는, 지금은 돈이 있는 한 북한에서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살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도 이러한 초기 형태의 자본주의를 공개적으로 용납할 방법을 찾지 못했기 때문에 외국인들과 장마당을 논의하는 것은 금기시되었습니다.

Which is a shame, because the rise of the jangmadang is arguably the most significant milestone in North Korea’s recent history. It lies at the root of all the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over the past few years.They might not be permitted to speak about it with outsiders, but North Koreans are no longer shy about flaunting their consumption habits, as anyone who has witnessed the displays on the streets of Pyongyang in recent years can attest. Montblanc watches, Ray-Ban sunglasses and Burberry couture hardly fit the stereotype of a half-starved populace completely cut off from the outside world. And while extreme poverty continues to afflict large swaths of the population, North Korean society no longer conforms to a simplistic picture of haves and have-nots, but is home to an increasingly diverse and complex array of socioeconomic classes.While the presence of a rising upper middle class is most apparent in Pyongyang, a nouveau riche strata has been observed in other parts of the country, such as the port city of Chongjin and in many places along the border with China, where licit and illicit trade continues to flourish.

장마당의 부상은 아마도 북한의 최근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획기적인 사건일 것입니다. 그것은 지난 몇 년 동안 모든 나라의 경제 발전의 뿌리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외부인과의 대화는 허용되지 않지만 최근 몇 년 동안 평양 거리를 목격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입증할 수 있듯이 북한 주민들은 더는 그들의 소비 습관을 과시하는 것을 꺼리지 않습니다. 몽블랑 시계, 레이밴 선글라스, 버버리 코트는 외부와 완전히 단절된 반쯤 굶주린 서민 대중에 대한 기존 고정관념과는 배치됩니다. 그리고 극도의 빈곤이 계속해서 인구의 많은 부분이 고통을 겪고 있지만, 북한 사회는 더는 부유층과 가난한 사람들 간의 단순한 모습이 아닌 점점 더 다양해지고 복잡한 사회경제적 계층의 사회가 되어 가고 있습니다. 평양에서는 상류층의 존재감이 가장 뚜렷하지만, 합법적이거나 불법적인 무역이 계속 번성하고 있는 항구 도시인 청진과 중국 국경을 따라 있는 많은 지역에서는 신흥 부자세력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Stewing in awkward silence with my guides, I struggled to reignite the conversation but couldn’t come up with anything witty on the topic of solar panels. I was relieved from this lonely task by the appearance of a figure approaching the parking lot on foot, a 37-year-old man sporting a Dolce & Gabbana flannel shirt and a pair of neon Nikes. Were it not for the red pin bearing the smiling faces of Kims Il-sung and Jong-il installed dutifully over the heart — a pin that all North Korean adults are required to wear in public — he could, I realized, easily be mistaken for one of his compatriots from the South. “Comrade K. is here,” S. announced with a sigh. “Finally.”

안내원들과 어색한 침묵 속에 마음을 졸이며 저는 대화를 다시 시작하려고 애썼지만, 태양 전지판에 어떤 재치 있는 이야기도 생각해 낼 수 없었습니다. 마침 주차장 쪽으로 걸어오는 한 사람과  돌체앤가바나 플란넬 티셔츠를 입고 네온 나이키를 신은 와 37세의 한 남자로 인해 이 외로운 상황을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김일성 김정일 부자의 웃는 얼굴이 새겨진 빨간 뱃지—모든 북한 성인들이 공공장소에서 착용해야 하는—가 아니었다면 저는 그가 남한에서 온 그의 동포 중 한 명으로 착각했을 것입니다. “K동무가 마침내 왔습니다”라고 S는 한숨을 쉬며 말했습니다.

The Arduous March had many causes, but probably the main one was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1991. During the decades following the Korean War, the Soviets provided North Korea with regime-sustaining aid, such as selling oil at artificially deflated prices in exchange for shoddily made North Korean goods. It made no sense politically, let alone commercially, for the Russian Federation to continue this form of aid-as-trade with North Korea. Between 1990 and 1994, annual trade between North Korea and Russia plummeted to $140 million from $2.56 billion, according to one estimate. In the following years, with flooding exacerbating the crisis, North Korea would experience a devastating famine that killed anywhere from 600,000 to more than a million people.

고난의 행군은 여러 가지 원인이 있었지만, 1991년 소련의 붕괴가 주된 원인일 것입니다. 6·25전쟁 이후 수십 년 동안, 소련은 북한산 조잡한 제품과 교환의 대가로 인위적으로 싼 가격에 석유를 파는 것과 같은 체제 유지적인 원조를 북한에 제공했습니다. 러시아 연방이 이런 형태의 대북 지원을 계속하는 것은 상업적으로는 말할 것도 없고 정치적으로도 말이 되지 않았습니다. 1990 년에서 1994년 사이 북한과 러시아 간의 연간 무역은 25억 6000 만 달러에서 1억 4000 만 달러로 급감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다음 몇 년 동안 홍수로 인해 위기가 악화하면서 북한은 60만 명에서 10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사망하는 엄청난 기근을 겪게 됩니다.

The birth of private markets is arguably the most significant milestone in North Korea’s recent history. It lies at the root of all the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민간 시장의 탄생은 아마도 북한의 최근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이정표이다.  그것은 모든 나라의 경제 발전의 뿌리이다.

With food scarce and the government unable to provide through its rationing program, North Koreans began turning away from the official, centrally planned economy. Markets sprang up all over the country, selling everything from food, cigarettes and household goods to illegal foreign media. According to Daniel Tudor and James Pearson’s book “North Korea Confidential,” the stalls were generally operated by middle-aged married women who were compelled to pay a “stall tax” to their local party cadre, “making the state complicit in marketization” — uncomfortably so. In 2009, under Kim Jong-il, the government implemented a disastrous currency reform, tried to close down the markets and forbade market activity within the country. This resulted in wide public discontent, and a high-ranking Workers’ Party official was executed as a scapegoat for the government’s decision. Still, the regime had failed in its promise to feed its citizens, and the gray markets of the jangmadang had, to some extent, filled in the gaps.

식량 부족과 정부가 배급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할 수 없는 상황에서, 북한 주민들은 공식적이고 중앙계획적인 경제에서 벗어나기 시작했습니다. 식품, 담배, 생활용품에서부터 불법적인 외국 매체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파는 시장이 전국적으로 생겨났습니다. 다니엘 투도르 (Daniel Tudor)와 제임스 피어슨 (James Pearson)의 저서 “북한 기밀 (North Korea Confidential)”에 따르면 노점상은 일반적으로 지방 당 간부에게 “실속에 부과하는 세금”을 내고 “자유주의 시장경제로의 이행에 국가가 연루되도록 만드는 “중년 기혼 여성들에 의해 운영되었습니다. 그렇게 불편하게요. 2009년 김정일 통치하에서 북한 정부는 처참한 화폐 개혁을 시행해 시장을 폐쇄하고 국내 시장 활동을 금지하려 했습니다. 그 결과 대중의 불만이 커지면서 고위직 노동자 당원이 정부의 결정에 희생양으로 처형당했습니다. 그러나 정권은 시민들을 먹이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았고 장마당의 회색시장은 어느 정도까지 이 틈을 메웠습니다.

Today there are more than 400 sanctioned markets in the country, representing about 600,000 vendors. After the currency reform wiped out the wealth and savings of a number of merchants, the preferred currencies in business became the United States dollar and the Chinese renminbi. According to one survey, some 90 percent of all household expenditures are said to take place in these markets; they are so pervasive that people speak of a Jangmadang Generation that grew up knowing nothing else. Under Kim Jong-un, market activities have not only been tolerated; they have slowly crept into the official sector, as I witnessed firsthand in my visits to the country.

오늘날 북한에는 약 60만 개의 판매상들을 대표하는 400개 이상의 허가된 시장이 있습니다. 화폐개혁이 많은 상인의 부와 저축을 없앤 후 사업에서 선호되는 화폐는 미국 달러와 중국 위안화가 되었습니다. 한 조사에 따르면, 모든 가계 소비의 약 90퍼센트가 이들 시장에서 일어난다고 합니다; 그것들은 대단히 만연해서 사람들은 다른 아무것도 모르고 자란 장마당 세대 이야기를 합니다. 김정은 체제 아래에서 시장 활동은 용인될 뿐만 아니라, 제가 직접 방문했을 때 보았던 것처럼 서서히 공식 부문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Among close observers, there is a growing consensus that the economy has been undergoing a quiet revolution. The South Korean economist Byung-Yeon Kim is among the first to offer hard data about what this transformation looks like, in his 2017 book, “Unveiling the North Korean Economy.” The average worker in North Korea’s informal economy, Kim reports, earns 80 times more than at an official job. Approximately 23 percent of employees at state-run enterprises are simultaneously involved with some unofficial form of business. At least 58 percent of all companies in North Korea employ so-called 8/3 workers, who pay a fee in order to be absent from work and engage in unofficial market activities; these funds are an important form of revenue for these companies, helping them to continue paying the salaries of their regular employees. This level of systemic corruption gets expensive: From 1996 to 2007, spending on bribes is estimated to have made up between 5.2 and 10.7 percent of total household expenditures. In spite of this endemic corruption, the North Korean economy was growing, by some estimates, at more than 4 percent annually before the latest round of sanctions went into effect in the fall of 2017. “The socialist economic system of North Korea has virtually collapsed,” Byung-Yeon Kim wrote.

가까운 관측통들 사이에서는 “경제가 조용한 혁명을 겪고 있다”는 공감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 경제 학자 김병연 씨는 2017년 펴낸 ‘『북한 경제 베일을 벗기다』에서 이 변화가 어떻게 생겼는지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가장 먼저 제시했습니다. 북한의 비공식 경제의 평균 노동자는 공식 직종보다 80배나 더 많은 수입을 올린다고 김교수는 보고합니다. 공기업 직원의 약 23%가 동시에 비공식적인 업무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북한 내 모든 기업의 최소 58%는 이른바 8/3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는데, 이들은 결근하고 비공식적인 시장 활동을 하기 위해 수수료를 지불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금은 이 회사들에게 중요한 수익이며, 이들 회사가 정규직의 급여를 계속 지불할 수 있게 합니다. 이런 수준의 조직적 부패는 고비용 구조라 할 수 있습니다: 1996년부터 2007년까지 뇌물에 지출된 돈이 전체 가계 지출의 5.2에서 10.7 퍼센트를 차지했습니다. 이런 고질적인 부패에도 불구하고 북한 경제는 2017년 가을 제재가 발효되기 전까지 매년 4% 이상 성장한 것으로 추산됩니다.  “북한 사회주의 경제 체제는 사실상 붕괴됐다”고 김병연 교수는 지적하고 있습니다.

[2017년 북한의 경제 성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뉴욕타임즈

But this is a shift that has been hard to reconcile with the state’s self-image as a socialist paradise, which it continues to project to the outside world and its own people.Peter Ward, a Seoul National University master’s graduate whose research focuses on the North Korean economy, spent nearly a month traveling in North Korea last summer, perusing official government publications and academic journals. In the course of his research, he discovered that the state had issued new rules, lifting restrictions on the utilization of “order contracts,” so long as it agrees with the state’s objectives. Order contracts, Ward explained on a recent podcast, involve state-owned enterprises setting their own prices in consultation with customers. They are, in other words, market forces, but by another name. This change was not confined to any one sector, he explained; rather, supply-and-demand economics can be employed by management and staff members of state-owned enterprises in nearly every sector of the economy.

그러나 이것은  외부 세계와 자국민에게 지속적으로 제시했던 사회주의 천국이라는 국가의 자아상과 조화되기 어려운 변화라 할 수 있습니다. 북한 경제에 초점을 맞춘 논문을 쓴 서울대 석사 졸업생 피터 워드는 지난해 여름 정부 공식 간행물과 학술지를 숙독하며 한 달 가까이 북한을 여행했습니다. 그는 연구 과정에서 정부 목표에 동의하는 한 “주문 계약”의 활용에 대한 제한을 해제하는 새로운 규칙을 정부가 제정했음을 발견했습니다. 워드는 최근 팟캐스트에서 주문 계약에는 국영 기업이 고객과 협의하여 가격을 책정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시 말해서 그것은 다른 명칭으로 불리지만 결국 시장의 힘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어느 한 부문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더 정확히 말하면 경제의 거의 모든 부문에서 국영 기업 경영진과 직원에 의해 공급과 수요의 경제가 적용되고 있다고 그는 설명했습니다.

At birth, every North Korean citizen is assigned a classification that is kept secret from them. This system is called songbun, and within it, there are three main categories — loyal, wavering and hostile — and 51 subcategories that serve as qualifiers.  The assignation of songbun is meant to be the chief factor in determining the extent of a citizen’s lifelong opportunity. It is familial, based on what your parents, grandparents or great-grandparents were up to during the years of the country’s foundation — or even earlier. Those whose predecessors fought alongside Kim Il-sung in the guerrilla struggles against the Japanese occupiers of Korea before its 1945 liberation are endowed with the highest level of songbun; many of their descendants today occupy the highest echelons in the government. Those branded “hostile” might be the descendants of former landowners or of people who collaborated with the Japanese colonialists, those with relatives in South Korea or Christians; they are largely consigned to the mountainous, inhospitable regions of the country, forbidden to enter Pyongyang or other major cities and forced to eke out a meager living as farmers or manual toilers, with almost zero opportunity for further advancement.

출생하면 모든 북한 시민은 비밀스러운 분류를 부여받습니다. 이 시스템은 출신 성분이라고 불리며 그 안에는 충성, 동요, 적대 등 세 가지 주요 범주와 수식 어구 역할을 하는 51개의 하위 범주가 있습니다. 성분 배정은 시민의 평생 기회 범위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입니다. 이것은 여러분의 부모님, 조부모님 또는 증조 부모님들이 건국 기간 무엇을 했는지, 혹은 심지어 그보다 더 이른 시기에 무엇을 했는지를 바탕으로 한 가족력입니다. 1945년 해방 전 김일성과 함께 일제 강점에 맞서 게릴라 투쟁에 나섰던 선조의 후손 중 다수가 정부 최고위층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적대자”로 낙인찍힌 사람들은 지주 후손일 수도 있고, 일본 식민주의자들과 협력한 사람들일 수도 있고 남한이나 기독교도들과 함께한 사람들일 수도 있습니다; 그들은 대체로 산지나 생활이 불편한 곳에 살고 평양이나 다른 주요 도시에 들어가는 것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더 이상의 발전을 위한 기회가 거의 없으며 농부나 육체 노동자로 사는 보잘것없는 생활을 강요받고 있습니다.

Even if most North Koreans don’t explicitly know what their songbuncategorization is, everyone can generally intuit it, based on where they live, what their ancestors were known to have done, the degree of opportunities open to them and the level of discrimination to which they are regularly subjected from school age onward. Songbun, while a clear component of the police-state apparatus, has historically been tethered to the North’s traditional centrally planned economy. And there is evidence that as North Korea goes further in the direction of the free market, this political class system is eroding.

비록 대부분의 북한 사람들이 자기 성분 분류가 뭔지 명확하게 몰라도 일반적으로 그들이 어디에 살고 있는지, 그들의 조상들이 무엇을 했는지, 그들에게 열려있는 기회의 정도 그리고 그들이 학창시절로부터 정기적으로 받는 차별의 정도에 근거하여 그것을 직감합니다. 성분은 분명 경찰국가기구의 구성 요소이지만 역사적으로 북한의 전통적인 중앙계획경제에 의해 얽매여 왔습니다.  북한이 자유시장 방향으로 나아가면서 이러한 정치계급 체계가 약화되고 있는 것은 분명합니다.

Before my last trip to North Korea in 2017, I spent three months in Seoul interviewing North Korean defectors. One of them, Bomhee Kim, now 30, left the country in 2006. It all began, she told me, with the death of Kim Il-sung on July 8, 1994 — as though, with the death of the Great Leader, a catastrophe of such cosmological proportions was inevitable. To Bomhee, a child of 5 at the time, this made perfect sense. People were taken to cry in mass displays of mourning before statues of the leader throughout the country. As if the gods were responding in kind, the skies opened and poured torrential rains across the land, ruining the year’s harvest.

2017년 마지막 방북을 앞두고 저는 서울에서 탈북자 인터뷰를 하며 3개월을 보냈습니다. 그중 한 명인 현재 30세인 김봄희는 2006년에 북한을 떠났습니다. 기근과 겹친 어린 시절 내내 그녀는 성분 시스템이 어떻게 흐트러지기 시작했는지 직접 관찰할 수 있었죠. 마치 위대한 지도자의 죽음과 함께 우주적 규모의 재앙을 피할 수 없었듯 이 모든 것이 1994년 7월 8일 김일성의 사망과 함께 시작되었다고 그녀는 말했습니다. 당시 5살이었던 봄희에게 이것은 아주 이치에 맞는 말입니다. 전국 각지의 지도자 동상 앞에서 애도하는 군중 속에서 사람들이 오열했습니다. 신들이 일제히 반응하는 듯 하늘이 열리고 한 해의 수확을 망치는 집중호우가 쏟아졌습니다.

By 1997, the end of the three-year state-sanctioned mourning period for the eldest Kim, the tone of the propaganda under his son and successor, Kim Jong-il, had shifted to a message of struggle and endurance. With Russia’s withdrawal of support, the rations quickly dried up. Bomhee remembers growing accustomed to the sight of corpses scattered along the ground in her hometown and the mountains, where people would go to forage for anything they could find to eat, including rats and tree bark. When the public distribution system broke down, the starving populace had no choice but to violate the constitution and go into business for themselves.

김일성에 대한 3년간의 국가적 애도 기간이 1997년에 끝나자, 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김정일에 대한 선전은 투쟁과 인내라는 메시지로 바뀌었습니다. 북한에서 월급은 거의 무의미할 정도로 낮았습니다; 음식을 포함한 모든 필수품은 국가의 공공 배급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어야 했죠. 러시아의 지원 철회로 식량 배급이 급속히 줄었습니다. “언젠가 부모님께서 정부로부터 이제는 식량을 받지 않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라고 봄희는 회상합니다. “그때부터 우리 스스로 고군분투해야 했죠”. 봄희는 집주변과 산에 흩어져 있는 시체를 보는 것에 익숙해진 것을 기억합니다. 그곳에서 사람들은 쥐와 나무껍질을 포함해 먹을 수 있는 모든 것을 찾아다녔죠. 배급제가 무너지자 굶주린 인민들은 헌법을 어기고 스스로 사업을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With access to South Korea blocked by the heavily mined Demilitarized Zone, countless northerners fled over the border to China. The border also became a gateway to survival for those who stayed, with traders regularly crossing back and forth with food, goods and cash, as well as more illicit goods such as DVDs, effectively exposing North Koreans to the wider, wealthier world. Bomhee’s family lived close to a gold mine, and the country was corrupt enough by this point that if you knew the right people, you could buy directly from the miners. Bomhee’s family lived close to a gold mine, and the country was corrupt enough by this point that if you knew the right people, you could buy directly from the miners. Her father eventually started paying his boss a bribe rather than show up for work — with the economy broken, all industry had ground to a halt, so there wasn’t much to do anyway.

남한으로 가는 것은 지뢰가 깔린 비무장지대에 의해 막혔고 수많은 북한 사람들이 국경을 넘어 중국으로 도망쳤습니다. 국경은 또한 무역상들이 정기적으로 식량, 상품, 현금뿐만 아니라 DVD와 같은 더 많은 불법 상품들을 가지고 왕래하게 되면서 북한 사람들을 더 넓고 부유한 세계에 효과적으로 노출하는 생존의 관문이 되었습니다. 봄희씨 가족은 금광 가까이 살았고 제대로 된 사람들을 알면 광부들에게 직접 살 수 있을 만큼 나라는 충분히 부패했습니다. 그녀의 부모는 정제되지 않은 금을 암거래 환율로 구했고 로그것을 집에서 세련시킨 다음 국경을 넘어 중국 투자자에게 순금을 공식 환율로 팔아서 이익을 얻었습니다. 그녀의 아버지는 결국 상사에게 결근하는 대신 뇌물을 주기 시작했는데, 경제가 파탄 나고 모든 산업은 중단되자 어쨌든 할 일이 별로 없었습니다.

Bomhee’s mother, meanwhile, began selling homemade food in the jangmadang. Video footage smuggled out of the North reveals these early markets as primitive gatherings on the muddy outskirts of large cities or else down discreet alleyways, merchants squatting or standing above their wares spread over tarps on the ground or gathered in homely sacks that could be readily snatched up should an official arrive.

Kotjebi, homeless children whose parents had either died or abandoned them, self-organized into Dickensian gangs. They would stalk the market grounds, pickpocketing choice wares from shoppers’ knapsacks and distracting vendors while their comrades stole food, and they were often severely beaten or even killed in battles with warring gangs. Other lone children, some as young as toddlers, could be seen picking kernels of undigested corn out of piles of animal excrement to eat on the spot. When she was 11, Bomhee would ride her bike after school to a wholesale market and buy 100 pieces of candy for 1,000 won (around 12 cents, according to today’s unofficial but universally employed exchange rate), then join her mother in the jangmadang in the deep recesses of the countryside, where she would sell the candy and earn a 10 percent profit.

한편 봄희 어머니는 장마당에서 손수 만든 음식을 팔기 시작했습니다. 북한으로부터 밀반입된 비디오 장면은 대도시의 진흙투성이 외곽의 원시적인 모임으로 이 초기 시장을 보여줍니다.  장면을 보면 쪼그리고 앉거나 서있는 상인들은 땅에 방수지 위에 펴놓거나 공무원이 도착하는 즉시 쉽게 싸서 옮길 수 자루 주위에 모여 있습니다.

부모가 죽거나 버린 노숙자 아이들을 뜻하는 ‘꽃제비’들은 스스로 열악한 강도단을 결성했습니다. 그들은 시장 구내를 돌아다니며 물건을 사려는 사람들 배낭에서 물건을 소매치기하고, 그들의 동료들이 음식을 훔치는 동안 상인의 주의를 딴 데로 돌렸습니다. 그들은 종종 심하게 두들겨 맞거나 심지어 폭력배들과의 싸움에서 죽기도 했습니다. 막 걸음마를 배우는 아이처럼 비틀대는 다른 외로운 어린이들이 그 자리에서 먹으려고 동물 배설물 더미에서 소화되지 않은 옥수수 알갱이를 골라 내는 것도 볼 수 있었습니다. 11살 때 봄희는 방과 후에 자전거를 타고 도매 시장으로 가서 1,000원에 100개의 사탕을 사서 엄마와 함께  더 시골에 있는 장마당에 10퍼센트의 마진을 남기고 사탕을 팔기도 했습니다.

North Korean socialism would never recover from this intrusion of market-based economics. While songbun has never gone away — a severely bad rating is still a huge hurdle to socioeconomic advancement — it is now becoming possible to work out from under it. Another young defector I spoke with, who asked not to be identified, was able to buy a permit required to stay in Pyongyang — certainly not thanks to her parents’ songbun, which was good but not great, but to their money and business connections. Another young defector I spoke with, who asked not to be identified, was able to buy a permit required to stay in Pyongyang — certainly not thanks to her parents’ songbun, which was good but not great, but to their money and business connections.

She grew up in a city on the Chinese border. Throughout the 2000s, when the border was much more porous than it is today, the markets there were thriving. The defector, who plays piano, dreamed of studying music in the capital. While her mother was doing very well in the markets, she couldn’t quite afford the $10,000 bribe that would place her daughter in the country’s top music conservatory. Instead, she negotiated a second-best deal directly with one of the professors, who, rather than show up for work, had begun teaching the children of elites privately. For a monthly boarding-and-tuition fee, she could live in the professor’s spare room and study piano in Pyongyang.

북한 사회주의는 이런 시장경제의 침입에서 결코 회복하지 못할 것입니다. 성분도 사라지지 않았지만—심각하게 나쁜 평점이 여전히 사회 경제적 진보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지만 —이제는 그 아래에서도 일이 진행되어 나가는 것이 가능해 지고 있습니다.저와 이야기를 나눈, 신원을 밝히지 말도록 부탁한 또 다른 젊은 탈북자는 평양 체류에 필요한 허가증을 살 수 있었습니다. 좋지는 않았지만 대단하지는 않은 그녀의 부모님의 성분덕 때문이 아니라 그들의 돈과 사업 관계 덕분이었죠.

그녀는 중국 국경의 한 도시에서 자랐습니다. 2000년대 내내 국경선이 오늘날보다 훨씬 더 구멍이 많았을 때 그곳 시장은 번성했습니다. 피아노를 치는 이 탈북자는 수도에서 음악을 공부하는 걸 꿈꿨습니다. 그녀 어머니가 시장에서 매우 좋은 성적을 거두었지만 딸을 최고의 음악 관리소에 둘 만 달러의 뇌물을 감당할 여유는 없었죠. 대신 그녀는 교수 중 한 명과 차선책을 협상했습니다. 그 대신 그녀는 직장에 출근하기 보다 개인적으로 엘리트 자녀들을 가르치기 시작한 교수 중 한 명과 직접 차선 계약을 맺었죠. 매월 하숙과 수업료를 내고 평양에 있는 교수의 여분 방에서 피아노 공부를 할 수 있었습니다.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by Byung-Yeon Kim among recent defectors, the average monthly salary for a state employee is a little under 2,200 North Korean won, around 26 cents; people working in the jangmadang, on the other hand, earned on average 172,750 won, about $21. (To help put those figures in perspective, the current price in Pyongyang for a kilo of rice is 4,200 won, or 51 cents.) And while it has traditionally been the case that defectors in the South send money home to their poor relatives still living in North Korea — a situation that mirrors that of Cuban émigré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 I have heard from several defectors of a new phenomenon in recent years:

최근 탈북자들을 대상으로 한 김병연 씨의 조사에 따르면, 공무원의 평균 월급은 약 26센트지만 장마당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평균 172,750원으로 약 21달러를 벌었다고 합니다(참고로 현재 평양의 쌀 1kg 가격은 4,200원, 51센트입니다). 전통적으로 남한에 있는 탈북자들이 여전히 북한에 사는 가난한 친척들에게 돈을 고향으로 보내는 경우가 있었지만, 최근 몇 년 동안 몇몇 탈북자들로부터 새로운 현상에 대한 소식을 들었습니다. 부유한 북한 주민은 남한에서 공부하는 탈북 어린이들에게 매달 수천 달러를 보냅니다. 이들은 단순히 장마당에서 물건을 파는 것이 아니라 직물이나 해산물 같은 산업에서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무역하는 중상류층에 속합니다.

An individual employed in a managerial position at a state-owned company can, these days, engage in practically any profit-making endeavor he or she wants. These activities are “approved” by an official in one of the government ministries, essentially a business partner who takes kickbacks and who in turn pays kickbacks to one of his superiors, in a line that extends all the way up to the ruling family and their associates. Some journalists covering North Korea have compared the regime to a mafia protection racket.

국영기업 경영직에 있는 사람은 요즘 자신이 원하는 어떤 수익 창출 노력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기본적으로 뇌물을 받고 자기 상사에게 뇌물을 바치는 사업 동반자인 정부 부처 중 한 관계자에 의해 “승인”됩니다. 그리고 이 줄은 위로 여당과 그 측근까지 이어집니다. 북한을 취재하는 일부 기자들은 이 정권 행태를 마피아 보호 돈벌이에 비유했습니다.

As our car crossed the bridge across the wide Taedong River into east Pyongyang, we stopped at a red light in front of a long building with a swerving rooftop. “This is the Ryugyong Health Complex, right?” I asked Comrade K. in the front seat.“Yes, yes,” he nodded. “But what about the one across the street?” I pointed to a newer building with a shiny blue-mirrored-window facade. “Is that also the Ryugyong? Or does it have a different name?” K. turned around to face me. “You’ve been there?” he asked incredulously. It is not a normal stop on the tours his company operates. In fact, he wasn’t aware that foreigners were allowed to visit.

우리 차가 넓은 평양을 가로질러 다리를 건너 평양 동쪽으로 오르자 우리는 오르막이 있는 긴 건물 앞에서 붉은빛으로 멈춰 섰습니다. “류경 헬스 단지 맞죠?” 나는 앞좌석 K 동무에게 물었습니다. “네, 네.” 그가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하지만 길 건너편에 있는 건요?” 나는 빛나는 푸른색 창문이 있는 새로운 건물을 가리켰습니다. “저것도 류경인가요? 아니면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나요?” K는 나를 보기 위해 돌아섰습니다. “거기 가봤어요?” 믿을 수 없다는 듯이 내게 물어봤습니다. 그것은 그의 회사가 운영하는 투어의 정상적인 경유지가 아닙니다. 사실 그는 외국인의 방문이 허용된다는 것을 알지 못했습니다.

Indeed I had been there, on an earlier visit arranged by one of Comrade K.’s competitors. The amenities of the new health club were impressive. On the ground floor, a shop sold luxury goods: tailored suits, silk ties, fine leather wallets, glittering Rolex watches. A snack bar vended an array of imported soft drinks, including a range of Coca-Cola products with Vietnamese packaging. Contrary to the notion spread by some commentators that such sites are merely stage sets to impress foreign visitors, the two dozen customers in the men’s locker room that day appeared genuinely startled by the sudden appearance of me and the other male foreigner in my group who chose to partake of the facilities, which included a traditional Korean jjimjilbang, or sauna, far more luxurious than any I had chanced to visit in Seoul, and an indoor swimming pool replete with artificial waterfall.

K. nodded pensively. “That is … an extension of the Ryugyong Health Complex.” He chose his words carefully. “But the main building here with the sloping roof and indoor skating rink … have you been there, as well? That one is for ordinary people.”

사실 저는 K 동무의 경쟁자들이 주선한 예전 방문 때 이미 그곳에 가 본 적이 있습니다. 새 헬스클럽의 편의시설은 인상적이었죠. 1 층에는 고급 옷, 비단 넥타이, 고급 가죽 지갑, 반짝이는 롤렉스 시계를 파는 상점이 있습니다. 스낵바는 베트남산 포장재가 포함된 다양한 코카콜라 제품을 비롯해 수입 청량음료를 판매했습니다. 그런 곳이 외국인 방문객을 감동하게 하기 위한 무대 세트일 뿐이라는 일부 해설자들의 견해와 달리, 한국 전통문화를 포함한 시설들의 참여를 선택한 저와 다른 남자 외국인의 갑작스러운 출현에 그날 남자 라커룸에 있던 24명의 고객들은 정말 놀란 것처럼 보였습니다. 한국식 찜질방, 즉 사우나는 제가 서울에 가볼 수 있었던 어떤 것보다도 훨씬 고급스러웠고 인공폭포가 가득한 실내 수영장도 있었죠.

K는 생각에 잠겨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그것은… 류경 헬스 단지의 확장입니다.” 그는 말을 신중하게 선택했습니다. “하지만 이곳 본관은 경사진 지붕과 실내 스케이트장이 있죠… 당신도 가봤나요? 그건 보통 사람들을 위한 겁니다.”

I had begun to hear this term “ordinary people” with increasing frequency on my last two visits. Usually deployed with a twinge of derogation, it clearly connoted the underclass: the working poor, farmers and laborers, those not fortunate enough to be employed in an arena that would otherwise be considered gainful and prestigious, that might allow them entry into a place like the one across the street; people lacking the savvy and connections that might help them make it big in the gray-market world of the jangmadang or the managerial gentry of the state-owned enterprises.

마지막 두 번의 방문에서 그 사용 빈도가 늘어나는 “보통 사람들”이라는 용어를 듣기 시작했습니다 그것은 대개 깎아내리기 위해 사용되며 분명히 하위 계층을 함축했습니다: 노동 빈곤층, 농부 그리고 노동자들, 만일 그  류경 단지에 고용되었다면- 그렇게 되면 길 건너편에 있는 그곳에 들어갈 수 있었겠지만 – 이익도 얻고 부러움도 샀을 그런 운이 없었던 사람들, 장마당의 그레이 마켓 세계나 국영기업 관리자 사람들 안에서 그것을 크게 만드는 것을 도울 수 있는 요령과 연줄이 부족한 사람들을 말입니다.

We pulled into a parking lot. A staircase between a shop selling imported prescription medicines and another offering a mishmash of clothing, furniture and household goods led up to our destination, Comrade K.’s favorite gastro pub, Taedonggang Beer Bar. It’s all polished wood, brass and chrome fixtures, tastefully dim lighting, bartenders in tuxedos. Were it not for the concert by Moranbong Band being broadcast on the flat-screen television in lieu of a ballgame, I might have imagined myself to be in an upmarket sports bar somewhere in Chicago or Boston.

우리는 주차장에 차를 세웠습니다. 수입 처방 의약품을 파는 가게와 의류, 가구, 생활용품 등을 파는 가게 사이의 계단을 따라 K 동무가 가장 좋아하는 미식가 술집인 목적지 대동강 맥주 바에 도착했습니다. 온통 광택이 나는 목재, 황동, 크롬으로 장식된 세간, 고상하게 흐릿한 조명, 턱시도를 입은 바텐더가 있었습니다. 야구경기 대신 모란봉악단의 콘서트가 평면 TV로 방송되지 않았다면, 저는 제가  시카고나 보스턴에 있는 고급 스포츠 바에 있을 거라고 착각 했을런지 모릅니다.

North Korean socialism has never recovered from the intrusion of market-based economics that was a result of the famine of the 1990s.

북한 사회주의는 1990년대 기근에 따른 시장경제의 침입에서 결코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The reasonably robust crowd consisted of North Korean yuppies, their ties and Mao collars loosened after a long day at work. There is a local name for these people: the donju, or money masters. These are certainly not “ordinary” people, though they represent an increasingly sizable segment of the Pyongyang populace, on a tier just below the elites: the nouveau riche. They are not likely to be manning market stalls but collecting rent from them, as well as engaging in other jangmadang economic activity while nominally employed in the official sector: from overseeing the logistics of transporting goods smuggled in from China to running shops and businesses through which such goods might be distributed at a profit.

온종일 일한 후 타이를 느슨하게 푼 인민복 복장의, 적당히 튼튼한 북한 여피족들로 북적였습니다. 이들은 여기 말로 ‘돈주’ 즉 머니 마스터입니다. 이 사람들은 확실히 “보통”이 아닙니다.  이들은 평양 시민 중 점점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평양 엘리트들 바로 아래 단계에 있는 신흥 부자계층입니다. 그들은 시장 노점을 관리하지 않고 그들로부터 임대료를 징수합니다. 뿐만아니라 다른 장마당의 경제 활동에 관여합니다.  명목상으로는 공식 부문에 고용되어 있죠.  중국에서 밀반입된 물품의 운송을 감독하는 것에서부터 상점과 사업을 운영하기까지 관여합니다. 물품은 이익으로 분배 됩니다. K동무가 바에 가서 맥주와 김치전을 주문하는 동안 제 안내원들과 저는 테이블을 가져왔습니다. S 씨는 명목상 관광가이드지만 최근 관리직으로 승진했습니다. 저는 그녀에게 하루 종일 안내할 투어가 없을 때 무엇을 했냐고 물었습니다. 요즘엔 거의 항상 투어가 없었습니다.

S는 수줍게 웃으며 말했습니다: “앉아서 시간을 죽이는 새로운 방법을 생각해 보세요. 사무실 몇몇은 월드오브워크래프트 게임에 아주 능숙해 지고 있어요”

Like most North Koreans I met, she didn’t want to go into too much detail about what she did at work all day, but I had patched together my own hazy picture based on what she let slip on my previous visit to the country, as well as her endlessly buzzing smartphone. S.’s family was far from ordinary. Her father, whom she described as a “businessman,” had spent many years living abroad at a North Korean Embassy (as had Comrade K.). Both she and her father made occasional trips abroad to China, Africa and Latin America (as did Comrade K.). Her mother, a chef, ran her own restaurant, specializing in European and American cuisines, and offered catering services.

제가 만났던 대부분의 북한 사람처럼 그녀는 종일 직장에서 무엇을 했는지 자세히 말하고 싶어 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전에 제가 방문했을 때 그녀가 자기도 모르게 흘렸던 것과 쉴 새 없이 삑삑거리는 그녀의 스마트폰으로 전체 그림을 대충 꿰맞출 수 있었습니다. S의 가족은 평범하지 않았습니다. 그녀가 “사업가”라고 묘사한 그녀 아버지는 (K동무가 그랬던 것처럼) 해외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그녀와 그녀 아버지는 중국, 아프리카,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로 가끔 해외여행을 했습니다. 요리사인 그녀 어머니는 유럽과 미국 요리를 전문으로 하는 자기 식당을 운영하며 음식 캐터링 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

At one point, S. asked me flat-out if I knew any businesspeople in Germany, where I currently live, of a riskier disposition who might not totally mind violating sanctions. I asked her what line of business she was interested in pursuing. Off the top of her head, she mentioned French cosmetics, I.T. services (her brother, she told me, was a genius programmer), human hair for wigs. “Anything, really,” she said.

한번은 S가, 내가 현재 살고 있는 독일의 사업가들 중 대북 제재 위반에 대해 개의치 않고 좀더 위험 상황을 감내할 수 있는 사람을 아는지 콕 집어서 물어왔습니다. 저는 그녀가 어떤 사업에 관심이 있냐고 물어봤죠.  그녀는 입에서 나오는 대로 언급했습니다. 프랑스 화장품, IT 서비스 (그녀는 자기 오빠가 천재 프로그래머라고 말했습니다), 가발용 인모 등등.  “뭐든지, 정말로요”그녀가 말했습니다.

After Kim Jong-un inherited the throne in 2011, the central policy of his government was the so-called byungjin line: the simultaneous development of both the economy and the military (i.e. nuclear weapons). This was in many ways a continuation of his father’s military-first policy, which not only increased the size of the country’s standing army but elevated its top brass to a position of unprecedented power. But in April of last year, at the Third Plenary Meeting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Workers’ Party, Kim made a startling announcement: The byungjin line was officially dead. The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was complete and had been “victorious.”

While outsiders continue to debate to what extent Kim intends to denuclearize, it’s notable that his spring announcement was followed by a reshuffling of military personnel at the top, implying a certain discord within the ranks around Kim’s decision, as well as a general downgrading of the military apparatus. Kim went on to declare that the sole focus, moving forward, would be the development of the economy, while engaging in a diplomatic process to maintain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Besides his brief meeting in Singapore with Donald Trump, Kim has to date met three times for lengthy meetings with the South Korean president, Moon Jae-in. Moon has stated, repeatedly, that he believes Kim’s intentions to be sincere.

2011년 김정은이 보위를 물려받은 뒤 김정은 정부의 중앙 정책은 경제와 군(핵무기)의 동시 발전이라는 이른바 ‘병진 노선’이었습니다. 이는 여러 면에서 자기 아버지가 추진한 선군 정책이 지속되어 국가의 상비군 규모를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전례 없는 최고 권력자 권력의 지위를 끌어올렸습니다. 그러나 작년 4월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3차 당대표자회에서 김 위원장은 “병진 노선을 공식적으로 폐기한다”며 깜짝 놀랄 발표를 했습니다. 핵무기의 개발은 완료됐고 “승리했다”고 선언했습니다.

외부에서는 김 위원장의 비핵화 의지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논의를 계속하고 있지만,  그의 봄 발표 이후 김 위원장의 결정과 함께 군 조직 내 장성의 지위 격하 등 내부 불협화음을 시사하는 수뇌부 인사 개편이 단행된 것은 주목할 만 합니다. 김 위원장은 이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외교적 절차를 밟으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유일한 초점은 경제 발전이라고 선언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싱가포르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짧은 만남 외에 문재인 대통령과의 장시간 만남을 위해 세 차례나 만남을 가져야 합니다.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의중이 진심이라고 생각한다고 거듭 밝혔습니다.

It is notoriously difficult to know what the regime wants, but between the economic liberalization and the shifts in foreign policy, the upbeat interpretation is that Kim wants to open up North Korea. Bruce Cumings, a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who has written a number of books on modern Korean history, is particularly sunny on the matter. “For the first time in North Korean history, I’m starting to believe that Kim Jong-un is moving in the direction of what Deng Xiaoping did in 1979 in China,” he told me. “I think his aspiration is create a secure environment in which North Korea can open up to the world economy in the way that China and Vietnam have. That’s very much behind the diplomacy with South Korea that’s been going on since January and the diplomacy with the U.S. I think this has actually been the North Korean goal for the last 25 years, but they found it very difficult to articulate it: some way to bring the U.S. in to solve their strategic problem after the Soviet Union collapsed.”

For the economy to grow meaningfully, the North Koreans would need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Nations to lift economic sanctions, allowing the country to access goods and, crucially, capital. But for this very reason, many are deeply skeptical of Kim’s motives, with hawkish North Korea watchers believing the United States is being suckered into lifting sanctions in exchange for nothing.

Fully cognizant of the poverty that surrounds them — and the fact that many of them started off as “ordinary” people — it is in their interest that the current status quo be maintained. In this situation, the donju can hardly be thought of as a dissident class; they just want the state to lay off them so that they can get rich.

북한 정권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기 어려운 것이 주지의 사실이지만 경제자유화와 대외정책 변화 사이에서 낙관적 해석은 김 위원장이 북한을 개방하고 싶어 한다는 것입니다. 한국 현대사에 관한 많은 책을 쓴 시카고 대학의 브루스 커밍스 교수는 이 문제에 대해 특히 긍정적입니다. 그는 “북한 역사상 처음으로 김정은이 1979년 덩샤오핑(鄧小平)이 중국에서 했던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나는 믿기 시작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 북한이 중국과 베트남처럼 세계 경제에 개방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고 그의 포부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것이 사실 지난 25년 동안 북한의 목표였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들은  그것즉 소련이 붕괴된 후 그들의 전략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을 끌어들이는 방법을 분명히 말하기가 매우 어려웠습니다.”

경제가 의미 있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미국과 유엔이 경제 제재를 해제해 북한이 상품과 자본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바로 그 이유 때문에 매파적인 북한 관측통들이 미국이 무일푼의 대가로 제재를 해제하도록 속고 있다고 믿으면서 많은 사람들이 김 위원장의 동기에 대해 깊이 회의적입니다.

The question remains whether the monolithic North Korean political system can survive the disruptive force that a market economy poses. The key to the equation might be the donju, who have made themselves an integral part of a complex financial system. Given the paucity of hard data released by North Korea, it is difficult to gauge just how many belong to this rising economic class. One thing is clear, however: Just as Kim has come to rely on the donju, the donju rely on the survival of Kim’s regime.

The Russian-born North Korean-studies scholar Andrei Lankov believes that, unlike the upper-middle classes whose discontent with the system played such a pivotal role in the Soviet Union’s downfall, the donju fear that the collapse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nd subsequent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ould mean having to compete with the global economic behemoths of South Korea, leaving the Northerners with second-class status, or worse.

문제는 북한 유일무이한 정치체제가 시장경제체제가 초래하는 파괴적인 힘을 견뎌 낼 수 있을지 여부입니다. 방정식의 열쇠는 복잡한 금융 시스템의 불가분의 일부가 된 돈주 (donju) 일 것입니다. 북한이 발표 확실한 데이터가 부족한만큼 이 상승 경제 계층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속해 있는지를 측정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러나 한가지 분명한 것은 김 위원장이 돈주에 의존하게 된 것처럼 돈주는 김 위원장 체제의 존립에 의존한다는 점입니다.

소련의 몰락에 중추적 인 역할을 한 상층 중산층과는 달리 ‘돈주’들은 북한 정부의 붕괴와 이후 한반도 재통일은 돈주들이 남한의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북한 주민을 2 등 시민으로 떨어뜨리거나 악화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러시아 태생 북한 학자 인 안드레이 란 코프 (Andrei Lankov)는 생각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평범한”사람들로 시작했다는 사실과 그 주변의 빈곤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현상 유지가 관심사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도주는 반체제 계급으로 간주 될 수 없다. 그들은 단지 부유해질 수 있도록 국가를 해고하기를 원합니다.

그들을 둘러싼 가난과 그들 중 많은 이들이 “보통”으로 출발했다는 사실을 완전히 인식하고 있기에 이들은 현재 상태의 현상 유지가 그들의 이익에 부합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돈주가 반체제 계층이라고 생각하기 어렵습니다. 그들은 단지 그들이 부자가 되기 위해 국가가 그들을 해고하기를 바랄 뿐입니다.

After a round of beers, Comrade K. apologized and said he had to cut the night short. He had to leave the next morning on a business trip to Nampo. Before we all got up to leave, he presented me with a gift: an expensive lighter emblazoned with the Chollima, a winged horse from Asian mythology renowned for its amazing speed of flight. It was invoked by Kim Il-sung in the Chollima Movement of the late 1950s. Similar to the Great Leap Forward in China and the Stakhanovite Movement in the Soviet Union, the Chollima Movement was a mass labor campaign meant to spur rapid economic advancement via “ideological incentives,” such as Chollima Rider titles bestowed on those who exceeded their quotas. Among other tactics, the government encouraged workers to drink less soup so as to take fewer bathroom breaks.

The Chollima Movement was lauded as a historical milestone in North Korea, but some outside observers have claimed that it resulted in little more than an exhausted, undernourished populace and an array of shoddy, inferior products and that it was yet another example of the government’s legacy of economic ineptitude.

맥주를 한 잔 마신 뒤, K동무는 사과하고 가봐야 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다음날 아침 남포로 출장을 가야 했습니다. 우리 모두가 떠나려고 일어나기 전에 그는 제게 선물을 주었습니다: 놀라운 비행속도로 유명한 아시아 신화의 날개 달린 말인 천리마를 새긴 비싼 라이터였습니다. 천리마운동은 1950년대 말 김일성에 의해 촉발되었죠. 중국의 대약진 운동과 소련의 스타카노비트 운동과 유사하게, 천리마 운동은 할당량을 초과한 사람들에게 수여되는 <천리마의 기수> 타이틀과 같은 “이념적 인센티브”를 통해 급속한 경제 발전을 촉진시키기 위한 대규모 노동 운동이었습니다. 다른 전술들 중 정부는 화장실에 덜 다녀오게 하기 위해 노동자들에게 국을 덜 마시도록 권장하기도 했습니다.

천리마운동이 북한의 역사적인 이정표로 칭송되었지만, 일부 외부 관측통들은 이것이 지치고 영양실조된 대중과 조잡하고 질낮은 제품들을 초래했고, 이것은 정부의 경제적 무능함을 보여주는 또 다른 예라고 주장했습니다.

K. also handed me a green carton of cigarettes. “This is the new trend brand here in Pyongyang,” he said with a smile, then, lowering his voice: “The brand that the elites smoke.” I read the name of the company that makes them aloud: “Naegohyang.” My hometown.

At the cash register, I tried to pay, but Comrade K. waved his hand, removed a thick wad of $50 bills from the breast pocket of his Dolce & Gabbana shirt, peeled one off and slapped it down. The hostess’s fingers danced across her pocket calculator, and she returned his change in a combination of dollars and a few thousand worth of won notes featuring Kim Il-sung’s smiling face. With a scowl, Comrade K. pocketed the dollars, slid the won across the table back to the hostess and sauntered out to the parking lot, where our driver was waiting.

K는 또 나에게 초록색 담배 한 상자도 건네주었습니다. 이어 “이곳은 평양의 새로운 트렌드 브랜드다”며 웃으면서 “엘리트들이 피우는 브랜드”라고 목소리를 낮췄다. 그들을 목소리를 높게 만드는 그 담배 회사의 이름을 읽었습니다: “내고향”. 북한 말로   my hometown의 뜻입니다.

카운터네서 돈을 지불하려고 했지만 K 동무는 손을 저으며 돌체앤가바나 셔츠의 가슴 주머니에서 50달러짜리 두꺼운 뭉치를 꺼내서, 한 장을 빼내서 카운터에 탁하고 내려 놨습니다. 여주인의 손가락이 그녀의 주머니 계산기를 가로질러 춤을 추었고, 그녀는 거스름돈을 달러와 김일성의 웃는 얼굴을 담은 몇 천 원짜리 지폐의 조합으로 돌려주었습니다. K 동무는 으스대며 달러를 챙기고, 테이블을 가로질러 주인에게 원화를 돌려주고, 운전사가 기다리고 있는 주차장으로 슬그머니 빠져나갔습니다.

Travis Jeppesen is a writer whose most recent book is “See You Again in Pyongyang.” This is his first article for the magazine.

트라비스 재패샌은 가장 최근의 책 ” 평양에서 다시 봐요”를 쓴 작가입니다. 이것은잡지에 실린 그의 첫 번째 기사입니다.

원문: Shopping in Pyongyang, and Other Adventures in North Korean Capitalism,  NOW YORK TIMES

0 - 포스팅이 마음에 드셨나요? 왼쪽 하트를 눌러주세요
댓글
  1. Andres Calamaro - Cuando No Estas 3:30